HTTP 1.0과 HTTP 1.1의 차이 HTTP 1.0과 HTTP 1.1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역시 Keep-alive 기능이다. HTTP 1.0은 매 요청마다 TCP 세션을 맺어야 했지만 1.1은 한 번의 TCP 세션으로 여러 개의 요청을 날릴 수 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하자. [Web] HTTP 1.0 과 HTTP 1.1의 차이 HTTP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HTTP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하자. [네트워크] HTTP란? non-persistent HTTP vs persistent code-lab1.tistory.com HTTP 1.1의 문제점 HTTP 1.1에서는 ..
웹엑스(Webex)란? 웹엑스(Webex)는 Cisco 사의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이다. 무료 버전으로 최대 100명이 최대 50분을 사용할 수 있다. 웹엑스(Webex) 다운로드 웹엑스는 아래 Cisco 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s://www.webex.com/ko/downloads.html Cisco Webex | Video Conferencing, Webinars, Screen Share, & Conference Call Cisco Webex is the leading enterprise solution for video conferencing, webinars, and screen sharing. Web conferencing, online meeting, cloud c..
ps 명령어 ps 명령어는 Process Status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프로세스 상태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ps [option] 주로 위와 같은 옵션을 사용하기도 한다. ps 명령을 사용하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들과 상태를 출력해준다. ps 명령어는 스냅샷으로 명령어를 입력한 시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프로세스 정보를 보고 싶다면 top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ps 명령어는 UNIX, BSD, GNU 환경에 따라 결과가 다르고 표기법에도 차이가 있다. UNIX 계열은 dash("-")를 사용하고, BSD 계열은 dash를 사용하지 않는다. GNU 계열은 두 개의 dash("--")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이 help 옵션을 사용해 정확한 옵션 사용법을 숙지하길 추천한..
서류 네이버의 자기소개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물어봤다. 1. 본 직군으로 지원을 결정하시게 된 계기와, 앞으로 팀네이버에서 어떻게 성장하고 싶은지 작성해 주세요. (1000자) 2. 가장 열정을 가지고 임했던 프로젝트(목표/과제 등)를 소개해 주시고, 해당 프로젝트의 수행 과정 및 결과에 대해 기재해 주세요. (1000자) * 지원 부문과 관련된, 어려웠거나 인상 깊었던 문제를 해결한 경험을 중심으로 작성해 주세요.(학교수업, 경진대회, 대외활동 등) 3. 다음 중 본인이 가장 자신 있고 희망하는 분야를 한 가지 선택해 주세요. ■ Front-end ■ Back-end ■Android ■ iOS ■ Data ■ 공통 선택한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와 자신 있는 이유(그 동안의 노력, 경험, 강점 포..
서류 LG CNS의 자기소개서는 아래와 같이 두 문항을 물어봤다. 1. My Competency 지원분야와 관련된 지식이나 경험을 기재하여 주십시오. (500자) -직무에 관련된 학습, 동아리 활동, 수상경험 등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2. Why LG CNS LG CNS에 지원한 동기와 입사 이후 꿈꾸는 것은 무엇인가요? (500자) -*지원동기 : LG CNS에서 근무하고 싶은 이유, LG CNS를 알게 된 계기, IT 또는 컴퓨터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등 *꿈:입사 이후 성장하고 싶은 목표 및 비전 등 500자 씩으로 길게 쓸 수 없기 때문에 핵심만 작성하였다. 1번 문항은 내가 3년간 써온 기술 블로그, 프로젝트 경험, 스터디 경험 등을 사실 위주로 적었다. 최대한 구체적..
Logitech MX Vertical 스펙 제품명 : Logitech MX Vertical 높이 : 120mm 너비 : 79mm 깊이 : 79mm 무게 : 135g 센서 해상도(기본) : 1000 & 1600 dpi DPI(최솟값 및 최댓값) : 400~4000 dpi 버튼 : 4개의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버튼(기본값 : 앞으로/뒤로, DPI 설정, 가운데 버튼) 충전식 Li-Po 배터리(240mAh) 무선 작동 거리 : 10m Windows 10 이상, macOS 10.15 이상 지원 버티컬 마우스를 사게 된 이유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마우스를 오래 잡고 있게 된다. 나도 마우스를 오랜 시간 잡고 이용하는 편인데, 어느 날 손목이 저릿저릿하니 너무 아팠다. 마우스를 너무 오래 잡아서 그런 것 같았다. ..
리눅스 OS 버전 확인 하는 법 리눅스의 버전은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at /etc/*release [그림 1]을 보면 해당 리눅스가 우분투 22.04.2 LTS 버전임을 알 수 있다. 그 외 여러 가지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간단하게 OS의 버전만을 보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cat /etc/issue* [그림 2]처럼 좀 더 간소화된 OS 버전을 보여준다.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하는 법 리눅스의 커널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cat /proc/version 위와 같이 입력하면 [그림 3]처럼 커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운영체제명과 커널버전, gcc 컴파일러 버전, 생성한 날짜 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티스토리 자체 광고 신설 오늘도 여느 때와 같이 블로그에 개발 관력 글을 작성하려고 했다. 그런데 블로그관리 창에서 아래와 같은 공지가 보였다. 이미 2월에 공지로 티스토리에 자체적으로 광고를 넣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혔기 때문에, 올 것이 오고야 말았다는 생각이 들어 바로 공지를 클릭해 보았다. https://notice.tistory.com/2646 [안내] 6월부터 티스토리 자체 광고를 신설합니다. 안녕하세요. 티스토리팀입니다. 오는 6월부터 개별 티스토리 본문 내에 티스토리 자체 광고를 신설할 예정입니다. 티스토리 자체 광고를 통한 수익은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 제공을 위해 활용될 notice.tistory.com 공지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23년 6월 중에 티스토리 자체 광고(본문..
참조의 지역성(Locality of Reference)주기억장치와 메모리는 속도 차이가 크다. 이러한 속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게 캐시 메모리이다. 이 캐시 메모리는 주기억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며 속도 차이에 따른 병목현상을 줄여준다. 그런데 이 캐시 메모리의 효율을 높이려면 캐시 메모리에 어떤 정보가 들어있냐가 중요하다.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캐시 메모리에서 찾는 캐시 적중율(hit-rate)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캐시 적중율을 높일 수 있는 원리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참조의 지역성이다. 참조의 지역성은 캐시의 지역성이라고도 불리는데, 정확히는 참조의 지역성이 맞다. 참조의 지역성이란 컴퓨터 프로그램이 일정 기간 동안 특정한 메모리 위치 집합에 접근..
스위치(Switch)란?네트워크에서 스위치(Switch)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연결하는 장비를 뜻한다. 스위치는 OSI 모델의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주로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스위치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장치(컴퓨터, 서버, 프린터 등)를 연결하고 이들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스위치는 주로 MAC 주소를 사용해 연결된 장치들을 식별하고 데이터를 전달한다. 참고) [네트워크]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스위치란? 네트워크에서 스위치란 소규모 비즈니스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 프린터 등 모든 디바이스를 서로 연결해주어 자원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스위치는 L2(데이터 링code-lab1.tistor..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NAT는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받는 기술을 말한다. -위키백과- NAT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줄임말로, 직역하자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이다. 이러한 NAT는 IPv4의 주소 부족으로 인해 도입되었다. IPv4는 XXX.XXX.XXX.XXX 형태로 2^32개(약 43억 개)의 주소만을 할당할 수 있다. 언뜻 많아 보이지만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호스트들을 모두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때 NAT를 사용하면 IP 주소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 NAT는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로 변환한다. 이러..
사용자 모드(User Mode)와 커널 모드(Kernel Mode) CPU는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를 번갈아가면서 동작한다. 사용자 모드일때는 User Process를 실행시킨다. 이때는 하드디스크나 메모리, I/O 디바이스 등의 I/O 장치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 또한 유저 모드 특권 레벨(privilege level)을 가지고 코드를 실행한다. I/O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System Call을 호출해 커널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System Call이 호출되면 Mode bit를 1에서 0으로 전환하고 커널모드로 진입한다. 커널 모드에서는 I/O 장치에 접근하는 등 다양한 System Call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커널 모드 특권 레벨(privilege level)을 가지고 코드를 실행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