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류 LG CNS의 자기소개서는 아래와 같이 두 문항을 물어봤다. 1. My Competency 지원분야와 관련된 지식이나 경험을 기재하여 주십시오. (500자) -직무에 관련된 학습, 동아리 활동, 수상경험 등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2. Why LG CNS LG CNS에 지원한 동기와 입사 이후 꿈꾸는 것은 무엇인가요? (500자) -*지원동기 : LG CNS에서 근무하고 싶은 이유, LG CNS를 알게 된 계기, IT 또는 컴퓨터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등 *꿈:입사 이후 성장하고 싶은 목표 및 비전 등 500자 씩으로 길게 쓸 수 없기 때문에 핵심만 작성하였다. 1번 문항은 내가 3년간 써온 기술 블로그, 프로젝트 경험, 스터디 경험 등을 사실 위주로 적었다. 최대한 구체적..
Logitech MX Vertical 스펙 제품명 : Logitech MX Vertical 높이 : 120mm 너비 : 79mm 깊이 : 79mm 무게 : 135g 센서 해상도(기본) : 1000 & 1600 dpi DPI(최솟값 및 최댓값) : 400~4000 dpi 버튼 : 4개의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버튼(기본값 : 앞으로/뒤로, DPI 설정, 가운데 버튼) 충전식 Li-Po 배터리(240mAh) 무선 작동 거리 : 10m Windows 10 이상, macOS 10.15 이상 지원 버티컬 마우스를 사게 된 이유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마우스를 오래 잡고 있게 된다. 나도 마우스를 오랜 시간 잡고 이용하는 편인데, 어느 날 손목이 저릿저릿하니 너무 아팠다. 마우스를 너무 오래 잡아서 그런 것 같았다. ..
리눅스 OS 버전 확인 하는 법 리눅스의 버전은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at /etc/*release [그림 1]을 보면 해당 리눅스가 우분투 22.04.2 LTS 버전임을 알 수 있다. 그 외 여러 가지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간단하게 OS의 버전만을 보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cat /etc/issue* [그림 2]처럼 좀 더 간소화된 OS 버전을 보여준다.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하는 법 리눅스의 커널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cat /proc/version 위와 같이 입력하면 [그림 3]처럼 커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운영체제명과 커널버전, gcc 컴파일러 버전, 생성한 날짜 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티스토리 자체 광고 신설 오늘도 여느 때와 같이 블로그에 개발 관력 글을 작성하려고 했다. 그런데 블로그관리 창에서 아래와 같은 공지가 보였다. 이미 2월에 공지로 티스토리에 자체적으로 광고를 넣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혔기 때문에, 올 것이 오고야 말았다는 생각이 들어 바로 공지를 클릭해 보았다. https://notice.tistory.com/2646 [안내] 6월부터 티스토리 자체 광고를 신설합니다. 안녕하세요. 티스토리팀입니다. 오는 6월부터 개별 티스토리 본문 내에 티스토리 자체 광고를 신설할 예정입니다. 티스토리 자체 광고를 통한 수익은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 제공을 위해 활용될 notice.tistory.com 공지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23년 6월 중에 티스토리 자체 광고(본문..
참조의 지역성(Locality of Reference)주기억장치와 메모리는 속도 차이가 크다. 이러한 속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게 캐시 메모리이다. 이 캐시 메모리는 주기억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며 속도 차이에 따른 병목현상을 줄여준다. 그런데 이 캐시 메모리의 효율을 높이려면 캐시 메모리에 어떤 정보가 들어있냐가 중요하다.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캐시 메모리에서 찾는 캐시 적중율(hit-rate)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캐시 적중율을 높일 수 있는 원리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참조의 지역성이다. 참조의 지역성은 캐시의 지역성이라고도 불리는데, 정확히는 참조의 지역성이 맞다. 참조의 지역성이란 컴퓨터 프로그램이 일정 기간 동안 특정한 메모리 위치 집합에 접근..
스위치(Switch)란?네트워크에서 스위치(Switch)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연결하는 장비를 뜻한다. 스위치는 OSI 모델의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주로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스위치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장치(컴퓨터, 서버, 프린터 등)를 연결하고 이들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스위치는 주로 MAC 주소를 사용해 연결된 장치들을 식별하고 데이터를 전달한다. 참고) [네트워크]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스위치란? 네트워크에서 스위치란 소규모 비즈니스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 프린터 등 모든 디바이스를 서로 연결해주어 자원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스위치는 L2(데이터 링code-lab1.tistor..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NAT는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받는 기술을 말한다. -위키백과- NAT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줄임말로, 직역하자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이다. 이러한 NAT는 IPv4의 주소 부족으로 인해 도입되었다. IPv4는 XXX.XXX.XXX.XXX 형태로 2^32개(약 43억 개)의 주소만을 할당할 수 있다. 언뜻 많아 보이지만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호스트들을 모두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때 NAT를 사용하면 IP 주소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 NAT는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로 변환한다. 이러..
사용자 모드(User Mode)와 커널 모드(Kernel Mode) CPU는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를 번갈아가면서 동작한다. 사용자 모드일때는 User Process를 실행시킨다. 이때는 하드디스크나 메모리, I/O 디바이스 등의 I/O 장치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 또한 유저 모드 특권 레벨(privilege level)을 가지고 코드를 실행한다. I/O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System Call을 호출해 커널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System Call이 호출되면 Mode bit를 1에서 0으로 전환하고 커널모드로 진입한다. 커널 모드에서는 I/O 장치에 접근하는 등 다양한 System Call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커널 모드 특권 레벨(privilege level)을 가지고 코드를 실행할..
SIGTERM과 SIGKILL 유닉스/리눅스에서 SIGTERM, SIGKILL 시그널이 있다. 둘 모두 어떠한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렇다면 어떤 차이점에는 어떠한 점들이 있을까? SIGTERM SIGTERM은 Singnal + Terminate 가 합쳐졌다고 보면 된다. 즉, 뭔가 중단하는 시그널이라는 뜻이다. $ kill -15 [pid] $ kill [pid] # default가 -15 리눅스에서 kill 명령어에 -15 옵션을 주면 SIGTERM 시그널이 프로세스에게 간다. 또한 kill 명령어는 디폴트가 -15 옵션이기 때문에 옵션을 주지 않아도 SIGTERM 시그널이 발생한다. 이때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한다기보다는 종료를 권고하고 무사히 프로세스가 종료하는 쪽에 가깝다 예를..
cat 명령어 리눅스에서 cat 명령어는 파일 내용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cat test.txt 위와 같이 사용하면 test.txt라는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 준다. cat 명령어는 파일을 순서대로 읽고 해당 내용을 표준 출력(standard output)에 쓴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n : 모든 라인 앞에 줄 번호 출력 -b : 비어 있지 않은 라인만 번호 출력 -E : 라인의 마지막에 $ 기호 출력 (공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가능) -T : 탭 문자를 ^I로 바꿔서 출력 -s : 두 번 이상 연속되는 빈 라인 출력 하지 않음 예시 cat 명령어 기본 cat 명령어 + 파일이름을 사용하면 위와 같이 파일 내용을 출력해 준다. 라인 번호 출력 -n 옵션을 이용하면 라인 번호를 앞에 붙여준다. 표준..
리눅스 free 명령어 free 명령어는 간단하게 메모리 사용량 및 여유량을 볼 수 있다. $free [옵션] 자주 사용하는 옵션 -h :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출력 --kilo : 킬로바이트 단위로 출력 --mega : 메가바이트 단위로 출력 --giga : 기가바이트 단위로 출력 -w : 와이드 모드로 cache와 buffers를 따로 출력 -t : 합계가 계산된 total 컬럼을 추가로 출력 메모리 구성 free 명령어를 사용하면 위와 같이 총 메모리의 크기와 메모리 사용률 등을 보여준다. 각각은 다음을 나타낸다. total Mem : 설치된 총 메모리의 크기 Swap : 설정된 스왑 총 크기 used Mem : totoal에서 free, buff/cache를 뺀 사용 중인 메모리 Swap : ..
netstat 명령어 netstat은 network status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netstat [옵션] 자주 사용하는 옵션 -a : 모든 네트워크 상태 출력 -n : 도메인 주소를 숫자로 출력 -t : tcp 프로토콜만 출력 -u : udp 프로토콜만 출력 -l : 대기 중(listening)인 네트워크 출력 -p : PID(프로세스 ID)와 사용중인 프로그램명 출력 -c : 실시간 상태 출력(1초 간격) netstat 설치 만약 리눅스 터미널에서 netstat 명령어를 실행했는데 위와 같이 "Command 'netstat' not found... " 오류가 뜨는 이유는 net-tools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최신 시스템은 netstat 유틸리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