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Switch)란?네트워크에서 스위치(Switch)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연결하는 장비를 뜻한다. 스위치는 OSI 모델의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주로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스위치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장치(컴퓨터, 서버, 프린터 등)를 연결하고 이들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스위치는 주로 MAC 주소를 사용해 연결된 장치들을 식별하고 데이터를 전달한다. 참고) [네트워크]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스위치란? 네트워크에서 스위치란 소규모 비즈니스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 프린터 등 모든 디바이스를 서로 연결해주어 자원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스위치는 L2(데이터 링code-lab1.tistor..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NAT는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받는 기술을 말한다. -위키백과- NAT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줄임말로, 직역하자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이다. 이러한 NAT는 IPv4의 주소 부족으로 인해 도입되었다. IPv4는 XXX.XXX.XXX.XXX 형태로 2^32개(약 43억 개)의 주소만을 할당할 수 있다. 언뜻 많아 보이지만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호스트들을 모두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때 NAT를 사용하면 IP 주소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 NAT는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로 변환한다. 이러..
스위치란? 네트워크에서 스위치란 소규모 비즈니스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 프린터 등 모든 디바이스를 서로 연결해주어 자원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스위치는 L2(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하는 장치이다. 즉, MAC 주소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위치를 파악하고 통신한다. 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구분할 수 없다. 스위치는 ARP 등을 통해 불명확한 목적지를 가진 데이터를 처리할 때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퍼뜨리는 브로드캐스트를 한다. 참고) [네트워크] MAC주소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 MAC 주소의 필요성 MAC 주소란?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사용되는 주소다. 반면 MAC 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
CDN(Contents Delivery Network)란?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이란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웹 페이지 로드 속도를 높이는 상호 연결된 서버 네트워크이다. 사용자는 웹 사이트를 방문할 때 해당 웹 사이트 서버의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서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동영상이나 이미지와 같은 대용량 파일을 로드할 때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반면 사용자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CDN 서버에 웹 사이트 콘텐츠를 저장해놓으면 사용자는 훨씬 빠른 속도로 콘텐츠를 로드할 수 있다. 즉, CDN은 콘텐츠 전송 시간을 줄여주는 네트워크이다. CDN의 동작 방식CDN의 목적은 지연 시간을 줄이는 ..
NAC(Network Access Control)이란? NAC의 탄생 배경NAC는 말 그대로 네트워크 접근 제어를 뜻하는 것으로 엔드포인트(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유무선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전 보안 정책 준수 여부를 검사하여 네트워크 사용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NAC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엔드포인트들의 여러 정보를 수집하여 엔드포인들을 분류하고 분류한 그룹의 보안 위협 정도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NAC는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 NAC는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인 가트너(Gartner) 그룹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보안 모델을 제시한 것을 계기로 급속도로 확산 되었다. 사내망에 바이러스 같은 것이 침투하면 순식간에 사내망 전체로 퍼지게 되..
웹사이트 접속 과정한 대학생이 캠퍼스에서 노트북으로 구글에 접속한다고 하자. 어떤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구글에 접속할 수 있을까?이 게시글은 그동안 공부한 내용들을 총 정리한다고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참고 링크를 참고하자. 1. 목적지 IP 주소 확인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해당 목적지의 IP주소를 알아야 한다. 브라우저는 캐싱된 DNS 기록이 있는지 체크하고, 만약 캐시가 있다면 캐시의 정보를 이용하고 없다면 DNS 서버에 정보를 요청해야 한다. 참고 : [네트워크] 도메인(Domain)과 DNS(Domain Name System)란?도메인(Domain)이란? 도메인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할 때, IP 주소를 대신하여..
MAC 주소란?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사용되는 주소다. 반면 MAC 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에서 사용되는 주소로, LAN(Local Address Network)에서 목적지와 통신하기 위한 실질적인 주소이다. MAC 주소 예시 : 1A-2F-BB-76-09-ADMAC 주소는 위 예시처럼 48bit의 16진수를 사용한다. MAC 주소는 유일성을 위해 IEEE(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에서 관리하고 할당한다. 따라서 모든 네트워크 장비 혹은 컴퓨터는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 MAC 주소의 필요성그런데 IP 주소가 있는데 MAC 주소가 따로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IP 주소는 논..
도메인(Domain)이란?도메인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할 때,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이다. 도메인을 이용하면 한눈에 파악하기 힘든 IP주소를 보다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글의 IP 주소가 11.32.23.232 이라고 하자. 이것 보단 도메인인 www.google.com 훨씬 확인이 쉽다. DNS(Domain Name System)란?DNS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거나 IP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DNS는 이름과 숫자 간의 매핑을 관리하여 마치 전화번호부와 같은 기능을 한다. DNS 서버에서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도메인 이름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할 때 최종 사용자를 어떤 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란?DHCP는 Host IP 구성 관리를 단순화하는 IP 표준이다.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표준에서는 DHCP 서버를 사용하여 IP 주소 및 관련된 기타 구성 세부 정보를 네트워크의 DHCP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쉽게 말해서 DHCP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DNS 서버 IP주소, 임대 기간 등 다양한 네트워크 정보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DHCP를 사용하면 이용자가 네트워크 정보를 직접 설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그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해진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이용자가 DHCP 서버에 의존하게 되므로 DHCP 서버가 다..
네이글 알고리즘이란?네이글 알고리즘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해야 하는 패킷 수를 줄임으로써 TCP/IP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수단이다. John Nagle이라는 사람이 정의하여 Nagle 알고리즘이라고 불린다. RFC896에 정확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를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RFC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종종 크기가 1바이트에 불과한 작은 덩어리로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내보내는 이른바 '스몰 패킷 문제'가 기술되고 있다. TCP 패킷은 40바이트 헤더를 가지므로, 1바이트의 정보를 보내기 위해 41바이트 패킷을 보내야 하는, 매우 비효율적인 오버헤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비효율성은 수많은 패킷들이 동시에 전송되어 잠재적으로 Congestion Collapse(정체 붕괴)로 이어질..
라우팅 알고리즘라우팅 알고리즘이란 송신 측에서부터 수신 측 라우터의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기관은 B기관이 소유한 네트워크가 보낸 패킷을 전달해서는 안된다'와 같은 규칙 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라우팅 알고리즘 분류라우팅 알고리즘은 중앙 집중형 혹은 분산형인지로 구분할 수 있다.중앙 집중형(global) 라우팅 알고리즘 :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최소 비용 경로를 계산한다. 즉 모든 라우터가 연결 상태와 링크 비용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Link ..
Count to infinity 문제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이하 DV 알고리즘)은 다른 라우터로 가는 최적 경로를 forwarding table에 저장해놓는다. 위와같은 상황에서 Y에서 X로 가는 비용이 60으로 증가한다면 어떻게 될까? (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x라우터의 forwarding 정보는 무시하자 ) Y라우터는 인접 라우터들에 자신이 X로 가는 비용이 60으로 증가했음을 알리고, 최적 경로를 다시 계산하게 된다. 이 때Y라우터는 Z로부터 Z는 X라우터 까지 가는데 5의 비용이 든다는 정보를 얻게 된다. 오직 주변 노드의 정보로만 경로를 판단하기에 Y는 Z 노드까지만 가면 어떻게든 Z에서 X까지 5의 비용으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해 Y에서 Z를 가는 비용 1을 더해 X노드까지 6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