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
-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 2023. 2. 9.
스위치란?
- 네트워크에서 스위치란 소규모 비즈니스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 프린터 등 모든 디바이스를 서로 연결해주어 자원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 스위치는 L2(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하는 장치이다. 즉, MAC 주소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위치를 파악하고 통신한다.
- 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구분할 수 없다.
- 스위치는 ARP 등을 통해 불명확한 목적지를 가진 데이터를 처리할 때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퍼뜨리는 브로드캐스트를 한다.
참고)
[네트워크] MAC주소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 MAC 주소의 필요성
MAC 주소란?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사용되는 주소다. 반면 MAC 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에서 사용되는 주소로, LAN(Local Address Network)에서 목적지와 통신하기 위한 실
code-lab1.tistory.com
[네트워크] OSI 7계층(OSI 참조모델)과 TCP/IP 5계층 | 계층화(Layering)란?| Layering of airline functionality
계층화(Layering)란? 계층화란 모듈들이 계층(Layer)을 이루도록 역할과 책임을 세분화 하는 것을 말한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상관 관계를 의존성을 이용해 구분한다. 상위 계층의 모듈은
code-lab1.tistory.com
라우터란?
- 네트워크에서 라우터란 목적지로 가는 적합한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 라우터는 L3(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장치이다. 즉, IP 주소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위치를 파악하고 통신한다.
-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한다.
[네트워크] 라우팅 알고리즘 비교 | Link State 알고리즘, Distance Vector 알고리즘
라우팅 알고리즘 라우팅 알고리즘이란 송신 측에서부터 수신 측 라우터의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최적의 경로를 결정
code-lab1.tistory.com
반응형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L4 스위치 L7 스위치 차이, 스위치란? 로드밸런서란? (0) | 2023.05.25 |
---|---|
[네트워크]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NAT의 동작 과정, NAT의 종류 (0) | 2023.05.23 |
[네트워크]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이란? (0) | 2022.08.23 |
[네트워크] NAC(Network Access Control)이란? NAC vs 방화벽(Firewall) (0) | 2022.06.10 |
[네트워크] 웹사이트 접속 과정에 대하여 (네트워크 과목 총 정리) |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생기는 일 (1) | 202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