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 명령어 리눅스에서 man 명령어는 manual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매뉴얼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리눅스마스터 같은 리눅스 관련 자격증 시험을 볼 때 명령어의 자세한 사용법을 man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으니 미리 숙지해 두는 게 좋다. $ man [옵션] [섹션] [키워드] 기본적인 사용법은 위와 같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k : apropos에 해당하는 매뉴얼의 내용을 출력. apropos란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도 대략적으로 비슷한 단어를 뜻한다. 예를 들어 mount의 apropos는 amount, mounted, mounts 등이 있다. -f : 키워드와 완전히 일치하는 매뉴얼의 내용을 출력 -a : 매치되는 모든 매뉴얼 페이지를 출력 -s, -S : 특정 섹션 번호를 지정하여 출력 -w..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란? 심볼릭 링크는 절대 경로 또는 상대 경로의 형태로 된 다른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고 있는 특별한 종류의 파일이다. -위키백과- 심볼릭 링크는 쉽게 말해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특정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링크라고 봐도 무방하다. 즉 심볼릭 링크는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포인터와 같은 존재로, 심볼릭 링크로 파일을 수정해도 원본 파일이 수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심볼릭 링크 만들기 $ ln -s [원본 경로] [링크 경로] 심볼릭 링크는 위와 같이 만들 수 있다. hello.txt라는 파일의 심볼릭 링크로 link.txt라는 파일을 만들었다. 파일 목록을 보면 link.txt -> hello.txt의 ..
date 명령어 date 명령어를 사용하면 시스템 날짜 및 시간을 확인 할 수 있다. $ date [옵션] [+포맷] 기본적으로 위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옵션 없이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locale을 기준으로 날짜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locale이 한국이라면 한국 시간을 기준으로 출력된다. date 명령어는 포맷을 지정해 원하는 형식으로 날짜를 출력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포맷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 : Sun, Mon와 같은 요일 약어 %A : Sunday와 같은 요일 전체 이름 %b : Jan, Feb 와 같은 달 약어 %B : January와 같은 달 전체 이름 %d : 일 %D: mm/dd/yy (달/일/년도) %F : yyyy-mm-dd %H : 시간(24시 기준) %l : 시간..
find 명령어 리눅스 find 명령어는 이름 그대로 무언가를 찾는 명령어이다. 주로 파일을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find [경로] [옵션] [대상] 기본적으로 위와 같이 사용한다. 경로는 . 을 입력하면 현재 및 하위 디렉토리를 검색하며 / 을 입력하면 전체 폴더를 탐색한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name [파일명] : [파일명]에 해당하는 파일을 찾는다. 정규 표현식을 사용가능하다. -user [유저명] : [유저명]이 소유하는 파일을 찾는다. -type [bcdfls] : 타입에 따라 파일을 찾는다. b : 블록파일 c : 문자 d : 디렉터리 f : 파일 l : 링크파일 s : 소켓 -size [+/-/ ]숫자[bckw] : 파일의 크기로 찾는다. + : 숫자보다 크다 - : 숫자보다 ..
pwd 명령어 pwd 명령어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말 그대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위치를 출력한다. $ pwd [옵션] 사용법은 위와 같다. pwd라고 입력하면 [그림 1]과 같이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를 출력해준다. 옵션 -L : 기본값으로 설정된 옵션.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가 포함된 논리 경로 출력 -P : 심볼릭 링크 없이 실제 물리 경로(physical directory)만 출력 예를 들어 copy라는 디렉토리가 original 디렉토리와 심볼릭 링크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copy 디렉토리에서 pwd 명령어를 실행하면 copy 디렉토리의 논리 경로가 출력된다. 하지만 -P를 옵션으로 입력하면 실제 물리 경로인 original 디렉토리의 ..
리눅스 ip 주소 확인하는 법 리눅스에서 자신의 ip 주소를 확인하려면 아래와 같이 3개의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다. 1. ifconfig 2. hostname 3. ip 각각에 대해 알아보자. ifconfig 명령어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하면 ip 주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맨 위 inet 부분이 자신의 ip 주소이다. hostname 명령어 hostname -I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른 부가 정보 없이 간단하게 자신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ip 명령어 ip addr 명령어를 통해서도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ip addr 명령어도 마찬가지로 자세한 결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ip 주소만 궁금하다면 grep 명령어를 통해 ip 주소만..
df 명령어 df는 disk free의 줄임말로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df [옵션] df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나오는 출력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Filesystem : 리눅스에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 목록 1k-blocks : 전체용량 Used : 사용량 Available : 남은 용량 Use% : 전체 용량 대비 사용량 퍼센트 Mounted on : 마운트 된 경로 자주 사용하는 옵션 -a : 모든 파일 시스템 출력 -h :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GB, MB, KB 등)로 출력 -l : 로컬 파일 시스템만 출력 -T : 파일시스템 타입으로 제한 du 명령어 du 명령어는 Disk Usage의 줄임말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du [옵션] df 명령어는 시스템 ..
top 명령어 top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의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 전반적인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top 터미널에서 top 명령어를 입력하면 [그림 1]과 같이 출력된다. CPU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을 나타내주며 실시간으로 정보가 업데이트된다. top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나오는 결과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요약 영역 가장 상단에 출력되는 부분은 요약 영역이다. 말 그대로 다양한 정보를 요약해서 보여준다. 1. 시스템 시간, Uptime, 유저 세션 수 가장 왼쪽 위에 시간은 시스템 현재 시간을 나타내고 바로 이어서 OS가 Up(구동)된 시간인 uptime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그림 3]는 현재 22시 18분 08초로 OS가 구동된 지 약 8분 ..
ps 명령어 ps 명령어는 Process Status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프로세스 상태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ps [option] 주로 위와 같은 옵션을 사용하기도 한다. ps 명령을 사용하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들과 상태를 출력해준다. ps 명령어는 스냅샷으로 명령어를 입력한 시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프로세스 정보를 보고 싶다면 top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ps 명령어는 UNIX, BSD, GNU 환경에 따라 결과가 다르고 표기법에도 차이가 있다. UNIX 계열은 dash("-")를 사용하고, BSD 계열은 dash를 사용하지 않는다. GNU 계열은 두 개의 dash("--")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이 help 옵션을 사용해 정확한 옵션 사용법을 숙지하길 추천한..
리눅스 OS 버전 확인 하는 법 리눅스의 버전은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at /etc/*release [그림 1]을 보면 해당 리눅스가 우분투 22.04.2 LTS 버전임을 알 수 있다. 그 외 여러 가지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간단하게 OS의 버전만을 보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cat /etc/issue* [그림 2]처럼 좀 더 간소화된 OS 버전을 보여준다.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하는 법 리눅스의 커널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cat /proc/version 위와 같이 입력하면 [그림 3]처럼 커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운영체제명과 커널버전, gcc 컴파일러 버전, 생성한 날짜 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SIGTERM과 SIGKILL 유닉스/리눅스에서 SIGTERM, SIGKILL 시그널이 있다. 둘 모두 어떠한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렇다면 어떤 차이점에는 어떠한 점들이 있을까? SIGTERM SIGTERM은 Singnal + Terminate 가 합쳐졌다고 보면 된다. 즉, 뭔가 중단하는 시그널이라는 뜻이다. $ kill -15 [pid] $ kill [pid] # default가 -15 리눅스에서 kill 명령어에 -15 옵션을 주면 SIGTERM 시그널이 프로세스에게 간다. 또한 kill 명령어는 디폴트가 -15 옵션이기 때문에 옵션을 주지 않아도 SIGTERM 시그널이 발생한다. 이때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한다기보다는 종료를 권고하고 무사히 프로세스가 종료하는 쪽에 가깝다 예를..
cat 명령어 리눅스에서 cat 명령어는 파일 내용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cat test.txt 위와 같이 사용하면 test.txt라는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 준다. cat 명령어는 파일을 순서대로 읽고 해당 내용을 표준 출력(standard output)에 쓴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n : 모든 라인 앞에 줄 번호 출력 -b : 비어 있지 않은 라인만 번호 출력 -E : 라인의 마지막에 $ 기호 출력 (공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가능) -T : 탭 문자를 ^I로 바꿔서 출력 -s : 두 번 이상 연속되는 빈 라인 출력 하지 않음 예시 cat 명령어 기본 cat 명령어 + 파일이름을 사용하면 위와 같이 파일 내용을 출력해 준다. 라인 번호 출력 -n 옵션을 이용하면 라인 번호를 앞에 붙여준다.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