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의존관계 자동 주입,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 필드 주입 등, @RequiredArgsConstructor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의존관계 주입은 크게 4가지 방법이 있다.

 

1. 생정자 주입

2.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3. 필드 주입

4. 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 생성자 주입은 이름 그대로 생성자를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받는 방법
  •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한 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 주로 불변, 필수 의존 관계에 사용한다

불변 

처음에 세팅한 값을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불변이라고 한다. 

 

필수

변수에 final 키워드를 적용하면 무조건 값이 초기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해당 필드가 초기화되어있지 않으면 컴파일 오류를 발생시킨다. 생성자로 해당 필드를 필수로 초기화해야 한다. 

 

@Component
public class PizzaService {
    
    private final PizzaRepository pizzaRepository;
    
    //@Autowired 를 보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스프링 빈을 꺼내 주입해준다.
    @Autowired
    public PizzaService(PizzaRepository pizzaRepository) {
        this.pizzaRepository = pizzaRepository;
    }
}

위와 같이 생성자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스프링 빈을 꺼내 주입해준다. 생성자가 딱 1개만 있으면 @Autowired를 생략해도 자동 주입된다.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 setter라 불리는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수정자 메서드를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
  • 주로 선택, 변경 가능성이 있는 의존관계에서 사용한다
@Component
public class PizzaService {
    
    private PizzaRepository pizzaRepository;
    
    @Autowired
    public setPizzaRepository(PizzaRepository pizzaRepository) {
        this.pizzaRepository = pizzaRepository;
    }
    
}

위와 같이 setter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연관관계를 주입해준다. 

 

 

 

필드 주입

  • 이름 그대로 필드에 바로 주입하는 방법
  • 코드가 간결하지만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해서 테스트하기 힘들다
  • DI 프레임워크(스프링)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코드와 관련 없는 테스트 코드 등에서 사용된다
@Component
public class PizzaService {

	@Autowired	
	private PizzaRepository pizzaRepository;	
    
    ```
 
}

위와 같이 필드에서 바로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위 방식은 순수한 자바 테스트 코드를 이용할 수 없고, 외부에서 변경도 불가능하므로 웬만해선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 메서드 주입

@Component
public class PizzaService {
    
    private PizzaRepository pizzaRepository;
    
    @Autowired
    public init(PizzaRepository pizzaRepository) {
        this.pizzaRepository = pizzaRepository;
    }
    
}

위와 같이 일반 메서드에서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까?

스프링 공식 문서에 따르면, 생성자 주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생성자 주입을 권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불변

  •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한번 일어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까지 의존관계를 변경할 일이 없다. 오히려 대부분의 의존관계는 불변해야 한다.
  • 수정자 주입을 사용하면, setter를 public으로 열어둬야 한다.
  • 누군가 실수로 변경할 수도 있고, 변경하면 안 되는 메서드를 열어두는 것은 좋은 설계 방법이 아니다.
  • 생성자 주입은 객체를 생성할 때 딱 한 번만 호출되므로 이후에 호출되지 않는다.

누락

프레임워크 없이 순수한 자바 코드를 단위 테스트하는 경우는 굉장히 많다.

이때 수정자 의존관계 등을 사용한다면, 만약 실수로 setter를 호출하여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것을 누락한다면, Null Point Exception 등의 런타임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생성자 주입을 사용한다면 실수로 주입 데이터를 누락했을 때 런타임 에러가 아닌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즉, IDE에서 바로 어떤 값을 누락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정자 주입보다 누락을 쉽게 잡을 수 있다.

 

final 키워드

뿐만 아니라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필드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생성자에서 혹시라도 값이 설정되지 않는 오류를 컴파일 시점에 막아준다. 수정자 주입 등의 나머지 주입 방식은 모두 생성자 호출 이후에 호출되므로, 필드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다.

 

결론을 내리자면, 최대한 생성자 주입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RequiredArgsConstructor

lombok을 이용하면 생성자 주입을 훨씬 간단하게 할 수 있다.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izzaService {

	private final PizzaRepository pizzaRepository;	
   
}

위와 같이 롬복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을 적용하면 final이 붙은 필드를 모아서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매우 편리한 기능이다.

 

 


참고

1.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dashboard

 

2.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reference/html/core.html#beans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