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T', 'DELETE' 메서드는 위험하다?가끔 연차가 오래된 개발자나 보안팀 직원 분들께서 'PUT' 이나 'DELETE' 메서드 사용을 자제하고 'GET', 'POST'만 써야한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다. 'PUT' 메서드가 파일 변조나 해킹 파일 업로드 등의 보안 취약점이 있는 '취약한 메서드'라는 것이다. 이는 정말 사실일까? 'PUT', 'DELETE'의 보안 취약점1) 리소스 생성 또는 완전 대체HTTP 표준(RFC 7231)은 PUT을 대상 리소스의 상태를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표현으로 생성하거나(만들거나), 완전히 대체(replace) 하는 메서드로 규정한다. 즉, PUT은 부분 업데이트가 아니라 전체 대체(또는 새 리소스 생성) 의미를 갖는다. 이 “전체 덮어쓰기” 성격이 잘못 사용되면..
테마소개 장르 : 잠입/취재/공포물시간: 100분난이도 : 3/5가격 : 18만원(4인 - 인당 45000, 2인 - 인당 9만원) 남몰래 기자의 이야기입니다...(최대 4인 팀 당 가격으로 운영됩니다.)(만 15세 이상만 이용 가능하십니다.)(폐쇄공포증, 광과민성 증후군을 앓고 계신 분들은 테마 이용이 불가하십니다.)(임산부, 노약자는 테마 이용을 자제해 주세요.)(테마에 나오는 배우에게 위협을 가할 경우 즉시 테마가 종료됩니다.) 가암성당은 신촌 클레버타운에 있는 테마이다.해당 매장의 "난 너의 보이"라는 테마를 너무 재밌게 플레이한 기억이 있었다.이 매장에서 잠입 + 공포물이라는 내가 좋아하는 요소가 다 들어간 테마가 나왔다고 해서 기대가 됐다. 인원나(탱, 100방), 지인1(쫄, 200방), ..
테마소개 사주, 신점, 궁합부터 우리가족 건강운까지.정확한 상담으로 신령님의 말씀을 전합니다.장르: 잠입난이도: 3.5가격: 인당 35000원시간 : 90분 강남에 위치한 오늘의 한페이지에는 "버디"와 "용팔도령" 두 개의 테마만 있다.이전에 버디를 너무 재밌게 플레이했어서 용팔도령도 하게 되었다. 스토리말 그대로 내가 용팔도령이 되어 어딘가 잠입한다는 내용의 스토리이다.잠입 테마답게 꽤 긴장감이 있는 부분도 있었다. 전체적으로 스토리가 이해하기 쉽고 간단하다. 인테리어최근에 나온 신테마라 그런지 역시 인테리어가 좋았다.공간이 엄청 크지는 않지만 스토리에 알맞은 장소들을 잘 꾸며 놓아서 몰입 할 수 있었다. 우리는 2명이 플레이했는데 공간적인 제약은 크게 받지 않았다.4명까지도 무리없이 플레이할 수..
테마소개 장소 : 이머시브 스튜디오 홍대점시간 : 80분가격 : 55000원(1인당, 변동 가능, 시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스토리 : 그날, 집에 초대받은 순간부터 모든 것이 달라졌다.' 1980년대 태국 치앙마이의 한인 타운. 최근 마을에서 전염병 및 실종 사건 등으로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는 가운데, 한인 교민 '쿤타이'와 그의 아내 '베라', 딸 '포포'가 살고 있는 집에 각자 다른 이유로 방문하게 된 사람들. 겉보기엔 평온한 이 집에선 이해할 수 없는 일과 말할 수 없는 비밀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데... 이 집에 초대받은 사람들과 초대받지 않은 사람들과의 돌아갈 수 없는 저녁 식사가 시작됩니다. 당신없이는(Without You)는 엄밀히 말하면 방탈출은 아니다.이머시브형(체험형) 연극에 가깝..
테마소개 창귀는 신림 체셔하우스에서 새로 나온 따끈따끈한 신상 공포/스릴러 테마이다. 우리는 운이 좋게 창귀를 할 기회가 생겨 바로 즐길 수 있었다. 가격 : 25000원플레이타임 : 60분난이도 : 공식난이도는 못 찾았는데 쉬움 스토리우선 창귀는 호랑이에게 물려죽은 사람이 귀신이 된 것을 뜻한다. 이 창귀는 사람 목소리를 흉내내어 호랑이에게 다른 사람이 잡아먹히도록 한다고 한다. 대충 스토리는 이런 내용이다. 인테리어후기를 몇 개 찾아보면 홍대의 모 테마가 생각난다고 한다. 나도 그 테마를 해봐서 그런지 구성이 조금 비슷하다고 느꼈다. 그래도 분위기 자체가 달라서 나는 괜찮았다. 동양풍+현대 느낌으로 나쁘지 않은 인테리어였다. 공포도우리는 나름? 탱 3명이 갔는데도 밀치고, 뛰고 난리였다. 상당히..
레드-블랙 트리(Red-Black Tree)레드-블랙 트리는 자가 균형 이진 탐색 트리이다. 레드-블랙 트리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만족한다.1. 모든 노드는 빨간색 혹은 검은색이다.2. 루트 노드는 검은색이다.3. 모든 리프 노드(NIL)들은 검은색이다. (NIL : null leaf, 자료를 갖지 않고 트리의 끝을 나타내는 노드)4. 빨간색 노드의 자식은 검은색이다. == No Double Red(빨간색 노드가 연속으로 나올 수 없다)5. 모든 리프 노드에서 Black Depth는 같다. == 리프노드에서 루트 노드까지 가는 경로에서 만나는 검은색 노드의 개수가 같다.트리 관련 용어를 잘 모르겠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자. [자료구조] 트리(Tree)의 개념 | 이진 트리, 전 이진 트리, 완..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메인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적인 메모리 크기보다 크기가 큰 프로세스는 실행시킬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의 크기가 100MB 일 때 300MB 크기의 프로세스는 실행시킬 수 없다. 크기가 큰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메인 메모리를 크게 키우는 방법이 있겠지만, 이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나온 방법이 바로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이다. 가상 메모리는 메모리 관리 기법의 하나로, 기계에 실제로 이용 가능한 자원을 추상화하여 사용자들에게 매우 큰 메모리인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즉, 프로그램에 실제 메모리 주소가 아닌 가상의 메모리 주소를 주는 방식이다. 가상적으로 주어진 주소를 가상 주소(vir..
NoSQL이란?NoSQL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지칭한다. 즉,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지양 하며 대량의 분산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데 특화되었으며 스키마 없이 사용 가능하거나 느슨한 스키마를 제공하는 저장소를 말한다. NoSQL은 기존 RDBMS 형태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저장 기술을 의미하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의 새로운 형태이다.NoSQL의 특징RDBMS와 달리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지 않는다.RDBMS는 데이터 관계를 외래키 등으로 정의하고 JOIN 연산을 수행할 수 있지만, NoSQL은 JOIN 연산이 불가능하다.RDBMS에 비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페타바이트 급의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분산형 구..
정규화(Normalization)란?정규화는 이상현상이 있는 릴레이션을 분해하여 이상현상을 없애는 과정이다. 이상현상이 존재하는 릴레이션을 분해하여 여러 개의 릴레이션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정규형이 높아질수록 이상현상은 줄어들게 된다. 정규화의 장점데이터베이스 변경 시 이상 현상(Anomaly)을 제거할 수 있다.정규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는 새로운 데이터 형의 추가로 인한 확장 시, 그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거나 일부만 변경해도 된다.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응용 프로그램에 최소한의 영향만을 미치게 되어 응용프로그램의 생명을 연장시킨다.정규화의 단점릴레이션의 분해로 인해 릴레이션 간의 JOIN연산이 많아진다.질의에 대한 응답 시간이 느려질 수도 있다. 데이터의 중복 속성을 제거하고..
서브넷의 등장 배경흔히 사용되는 IPv4 주소 체계는 클래스를 나누어 IP를 할당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어떤 기관에 A 클래스를 할당한다고 하면 16,777,214개의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기관이 100개의 호스트를 할당한다고 하더라도 16,777,114개의 호스트가 낭비되게 된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들의 수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subnet)이 등장하게 되었다. 혹시라도 IP 클래스에 대해 모르겠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자. [네트워크] IP,IP 클래스, IPv4, IPv6이란? | IP 클래스 구분IP 주소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기기간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쓰는 프로토콜을 의..
웹사이트 접속 과정한 대학생이 캠퍼스에서 노트북으로 구글에 접속한다고 하자. 어떤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구글에 접속할 수 있을까?이 게시글은 그동안 공부한 내용들을 총 정리한다고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참고 링크를 참고하자. 1. 목적지 IP 주소 확인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해당 목적지의 IP주소를 알아야 한다. 브라우저는 캐싱된 DNS 기록이 있는지 체크하고, 만약 캐시가 있다면 캐시의 정보를 이용하고 없다면 DNS 서버에 정보를 요청해야 한다. 참고 : [네트워크] 도메인(Domain)과 DNS(Domain Name System)란?도메인(Domain)이란? 도메인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할 때, IP 주소를 대신하여..
IoC(Inversion of Control)란? IoC는 제어의 역전이라는 뜻으로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전에는 개발자가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했다. 하지만 Spring을 사용하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프로그램의 제어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DI(Dependency Injection)란? DI는 의존관계 주입이라는 뜻으로 여기서 의존관계(Dependency)는 어떠한 객체와 같이 수행(work with)되는 다른 객체와의 관계를 뜻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 하자. [Spring] 의존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 : DI)이란? 의존관계(Dependency)란? 의존관계 주입(Dep..
의존관계(Dependency)란? 의존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에 대하여 알아보기 전에 의존관계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의존관계는 의존 대상 B가 변하면, 그것이 A에 영향을 미칠 때 A는 B와 의존관계라고 한다. 쉽게 말해 B가 변경되었을 때 그 영향이 A에 미치는 관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보자. 피자 가게의 요리사는 피자 레시피에 의존한다. 만약 피자 레시피가 변경된다면, 요리사는 피자를 새로운 방법으로 만들게 된다. 레시피의 변화가 요리사에 미쳤기 때문에 요리사는 레시피에 의존한다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ublic class PizzaChef{ private PizzaRecipe pizzaRecipe; public ..
리눅스 cp 명령어 리눅스에서 cp 명령어는 copy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무언가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cp [옵션][복사 할 디렉토리/파일명][복사 될 디렉토리/파일명] ex) cp original.txt copy.txt // 현재 디렉토리의 original.txt라는 파일을 copy.txt라는 파일로 복사 ex) cp /app/bin/original.txt /app/logs/copy.txt // /app/bin 디렉토리의 original.txt라는 파일을 /app/logs에 copy.txt라는 파일로 복사 cp 명령어는 위의 예시처럼 [복사할 디렉터리/파일명] [복사될 디렉터리/파일명] 인자를 필수로 갖는다. 경로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위치를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
mv 명령어 mv는 mov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mv [옵션] [이동시킬 디렉토리/파일] [이동 될 위치] ex) mv log.txt folder // 현재 디렉토리의 log.txt 파일을 folder 디렉토리로 이동 ex) mv log.txt log2.txt // 현재 디렉토리의 log.txt 파일의 이름을 log2.txt로 변경 ex) mv /app/bin/logs/log.txt /app/dw // /app/bin/logs 디렉토리의 log.txt 파일을 /app/dw 디렉토리로 이동 mv 명령어는 [이동시킬 디렉토리/파일] [이동될 위치] 두 인자를 필수로 갖는다. 경로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현 위치를 디폴트로 설정한다. 이동시킬 때 새로운 이름을 지정할 ..
텔넷(telnet)이란? 텔넷(telnet)은 네트워크 통신을 테스트할 때 많이 사용하는 명령이다. telnet 명령어를 통해 원격 서버에 접속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elnet 192.168.0.1 8080'와 같이 입력하면 192.168.0.1 IP 주소의 8080 포트로 접속을 시도한다. 이러한 텔넷은 텍스트 기반으로 동작하고 보안 연결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윈도우 10에서 텔넷 사용하는 방법 윈도우는 보안에 취약한 텔넷 서비스를 비활성화시켜놓았다. 하지만 텔넷 명령어를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가장 먼저 제어판에 들어가준다. 제어판은 검색해서 들어가거나 윈도우+R키를 눌러 실행창에서 'control'을 입력해 들어갈 수 ..
B- 트리란?보통 B 트리라고 하면 B- 트리를 의미한다. B 트리는 트리 자료구조의 일종으로 이진트리를 확장해 하나의 노드가 가질 수 있는 자식 노드의 최대 숫자가 2보다 큰 트리 구조이다. 이러한 B 트리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그림과 함께 알아보자. 1. 노드에는 2개 이상의 데이터(key)가 들어갈 수 있으며, 항상 정렬된 상태로 저장된다. [그림 1]처럼 한 노드에 2개, 3개의 데이터가 들어가 있을 수 있으며, 항상 정렬된 상태로 저장된다. 2. 내부 노드는 ceil(M/2) ~ M개의 자식을 가질 수 있다. 최대 M개의 자식을 가질 수 있는 B 트리를 M차 B트리라고 한다. [그림 1]은 3차 B트리를 나타낸다. ceil() 함수는 올림 함수를 뜻한다. 즉, ceil(3/2) = 2이다..
Makefile이란? make 프로그램이란? 리눅스에서 Makefile은 소스 파일들을 쉽게 빌드할 수 있도록 돕는 make 프로그램의 설정 파일이다. [그림 1]과 같이 여러 개의 헤더 파일과 소스 파일을 빌드한다고 하자. 각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hello.h void hello(); hello.c #include void hello() { printf("hello "); } world.h void world(); world.c #include void world() { printf("world\n"); } main.c #include "hello.h" #include "world.h" int main() { hello(); world(); return 0; } 이 헤더 파일과 소스 파일들을 ..
오라클 문자열 자르기 (SUBSTR) 오라클은 문자여을 자를 때 SUBSTR 함수를 사용한다. 기본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SUBSTR([문자열], [시작위치], [길이-생략가능]) 예시를 보는 게 가장 이해가 빠르다. 예시 SELECT SUBSTR('HELLO', 1, 2) FROM DUAL; 결과 : 오라클은 첫 시작 위치가 1로 시작한다. 자바나 C언어 등은 배열의 첫 시작이 0이라서 헷갈릴 수도 있다. 따라서 SUBSTR('HELLO' , 1, 2)는 첫 번째 글자부터 두 글자를 자르겠다는 뜻이다. SELECT SUBSTR('HELLO', 3) FROM DUAL; 위와 같이 길이를 지정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길이를 지정하지 않으면 시작위치에서 끝까지 문자열을 자른다. 위와 같은 경우 3번째 글..
테마소개 피그는 쇼룸404에서 갓나온 신상 스릴러 테마이다. 스토리스토리는 사실 별거 없다. 이 테마는 스토리가 크게 중요한 것 같지는 않다.그래도 쉽게 이해가능하고 쭉 흘러가는 흐름에 맡길 수 있어서 좋았다. 인테리어인테리어는 애초에 조도가 엄청 낮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다.그런 의미의 인테리어보다는 공간을 잘 썼다는 느낌이 든다. 긴장감과 공포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인테리어를 한 것 같다. 공포도여기는 공포 테마가 아닌 스릴러/추격 장르 테마이다.문제는 공포도가 내 기준 웬만한 공테보다 훨씬 높았다는 점이다. 애초에 공식 홈페이지에 장르 소개로 추격을 넣었다.그말은 무언가에 쫓긴다는 뜻... 나는 개인적으로 귀신이 나오는 공포테마보다 이런 식의 현실 공포를 무서워해서인지엄청 무서웠다. ..
CASE WHEN문 C언어나 JAVA등에서 조건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f문을 주로 사용한다. 오라클도 이와 유사하게 조건식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CASE WHEN문이다. CASE WHEN [조건 1] THEN [출력 1] WHEN [조건 2] THEN [출력 2] ... ELSE [출력 N] END CASE WHEN문의 기본적인 문법은 위와 같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if문과 거의 비슷하다. CASE WHEN 뒤에 조건을 작성하고, 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THEN 뒤의 출력값을 출력하는 식이다. 예를 들어 SELECT CASE WHEN gender = 'M' THEN '남성' WHEN gender = 'F' THEN '여성' END AS '성별' FROM dual; 위와 같이 사..
fork() 함수란?Unix 환경에서 fork() 함수는 함수를 호출한 프로세스를 복사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가 나뉘어 실행되는데, 원래 진행되던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parent), 복사된 프로세스를 자식 프로세스(child) 라고 한다. fork() 함수는 프로세스 id, 즉 pid 를 반환하게 되는데 이때 부모 프로세스에서는 자식 pid가 반환되고 자식 프로세스에서는 0이 반환된다. 만약 fork() 함수 실행이 실패하면 -1을 반환한다. 프로세스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다음을 참고하자. [운영체제] 프로세스란?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 상태, 스케줄링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program)을 뜻한다. 그렇다면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
우분투 터미널 안 열림 현상 해결 방법은? 얼마 전 버츄얼박스에 우분투를 설치했는데 터미널(Terminal)이 열리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러한 현상은 무인 설치(Unattended Install)를 진행하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인다. 이를 해결하는 법은 간단하다. 1. 우분투의 Settings에 들어간다. 2. Region & Language 탭을 누르고 Language를 English(United States)에서 'English(Canada)'로 바꿔준다. 3.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LOB(Large Object) 타입이란? LOB(Large Object)타입은 오디오, 비디오, 문서 등 다양한 데이터를 큰 용량까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다. LOB은 아래와 같이 4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BLOB(Binary Large Object) : 바이너리(binary)타입의 어떠한 데이터든 저장할 수 있다. 주로 이미지, 오디오, 영상에 활용된다. CLOB(Character Large Object) : 매우 큰 용량의 문자열 혹은 문서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 고정 길이를 사용한다. NCLOB(National Character Set Large Object) : National 문자열 세트를 저장한다. CLOB과는 다르게 가변 길이를 사용한다. BFILE(External Binary F..
Authorization API를 사용하다 보면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보안적으로 안전한지 검증하는 과정이 있다. API 호출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해당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저의 권한을 체크하는 Token 방식도 Authorizaion의 타입 중 하나다. 포스트맨에서는 Authorization 탭을 통해 authorization을 설정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Authorization 타입들에 대해 알아보겠다. Basic Auth Basic Auth는 username과 password를 Request Header에 담아서 보낸다. 실제로 Headers 탭에 들어가 Hidden 항목을 살펴보면 Authorization 항목에 Basic dXNl..
서류 LG CNS의 자기소개서는 아래와 같이 두 문항을 물어봤다. 1. My Competency 지원분야와 관련된 지식이나 경험을 기재하여 주십시오. (500자) -직무에 관련된 학습, 동아리 활동, 수상경험 등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2. Why LG CNS LG CNS에 지원한 동기와 입사 이후 꿈꾸는 것은 무엇인가요? (500자) -*지원동기 : LG CNS에서 근무하고 싶은 이유, LG CNS를 알게 된 계기, IT 또는 컴퓨터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등 *꿈:입사 이후 성장하고 싶은 목표 및 비전 등 500자 씩으로 길게 쓸 수 없기 때문에 핵심만 작성하였다. 1번 문항은 내가 3년간 써온 기술 블로그, 프로젝트 경험, 스터디 경험 등을 사실 위주로 적었다. 최대한 구체적..
유산균을 먹게 된 이유 나는 예전에 장이 매우 약했다. 아마 과민성대장증후군이였던 것 같은데, 조금만 매운걸 먹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항상 배가 아팠다. 그리고 조금만 컨디션이 안 좋거나 긴장하면 배가 아팠다. 그러다가 친구가 유산균을 먹으면 나아진다고 하길래 유산균을 챙겨먹기 시작했다. 그런데 정말 효과가 너무 좋아서 이때부터 다양한 영양제를 챙겨먹기 시작하게 된 것 같다. 처음부터 캘리포니아 유산균을 먹은건 아니고, 아래와 같이 다양한 유산균을 먹어보았다. 락토핏 처음으로 유산균을 먹은건 락토핏 골드 20억 CFU(생균수)였다. 이 제품은 대한민국 1등 유산균이라는 명칭답게 아주 유명하다. 종근당에서 만들었고 품질은 믿을만 하다. 맛도 아주 좋고 물없이도 가루형태로 바로 섭취가 가능해서 복용이 ..
애플워치 SE 44mm 작년 대학교 졸업 후 졸업 선물로 애플워치 SE 44mm를 선물 받았다. 원래도 갖고 싶었던 애플워치였는데, 선물을 받게 되어서 정말 기뻤다. 사용한 지 벌써 10개월이 넘었는데, 한 번 리뷰를 해보고자 한다. 1. 디자인 애플워치 SE는 모든 애플 제품이 그러하듯 하얗고 심플한 포장박스에 담겨온다. 이 하얀 박스는 받게 되면 기분이 참 좋은 것 같다. 애플워치 SE의 구성품은 기본 루프와 본체, 그리고 충전기로 이루어져 있다. 애플워치 SE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모양이다. 삼성의 갤럭시 워치가 원형인 것과 비교된다. 솔직히 내가 애플을 좋아하는 것도 있지만, 갤럭시 워치보다 애플워치 디자인이 훨씬 예쁘다고 생각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갤럭시 워치는 조금 올드한 이미지가 든다. ..
디베아 차이슨 ALLNEW 22000을 사게 된 이유 나는 작은 원룸에서 자취를 하고 있다. 원래는 집 청소를 할 때 다이소에서 산 정전기 청소포와 밀대를 이용했지만, 바닥이 깨끗하게 청소되지 않는 것 같았다. 그래서 가성비가 괜찮은 무선청소기를 하나 사기로 마음먹었다. 유튜브와 구글 등 여러 곳에서 검색 후 디베아 차이슨 ALLNEW 22000이 가성비가 좋기로 유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차이슨은 "차이나" + "다이슨"의 합성어로, 중국의 다이슨이라는 뜻인 것 같다. 즉, 다이슨만큼의 성능을 가지면서 중국의 가성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1. 구성 차이슨 22000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온다(구매 플랫폼 별 상이) 본체 UV터보브러쉬 UV침구브러시 NEW물걸레 키트 멀티카펫 브러시 솔..
맥북을 사게 된 이유 나는 '개발자는 무조건 맥북이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늘 맥북을 갖고 싶었다. 맥북의 이미지는 고급지고 세련된 노트북이라는 느낌과, 스타벅스 입장권이라는 별명도 있을 만큼 허세의 이미지 또한 크다. 하지만 모두들 맥북이 한 번쯤은 사용해보고 싶은 노트북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할 것이다.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에, 감성 넘치는 애플 로고가 더해져 괜히 카페 같은 데 가서 펼쳐놓고 자랑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이다. 대학생 때부터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회사에 취직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겨 맥북을 구매하게 되었다. 내가 구매한 제품은 2021 맥북 프로 M1 Pro 16인치 스페이스 그레이 모델이었다. 이하 m1 pro로 지칭하겠다. 1. 디자인 맥북을 구매하면 ..
Logitech MX Vertical 스펙 제품명 : Logitech MX Vertical 높이 : 120mm 너비 : 79mm 깊이 : 79mm 무게 : 135g 센서 해상도(기본) : 1000 & 1600 dpi DPI(최솟값 및 최댓값) : 400~4000 dpi 버튼 : 4개의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버튼(기본값 : 앞으로/뒤로, DPI 설정, 가운데 버튼) 충전식 Li-Po 배터리(240mAh) 무선 작동 거리 : 10m Windows 10 이상, macOS 10.15 이상 지원 버티컬 마우스를 사게 된 이유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마우스를 오래 잡고 있게 된다. 나도 마우스를 오랜 시간 잡고 이용하는 편인데, 어느 날 손목이 저릿저릿하니 너무 아팠다. 마우스를 너무 오래 잡아서 그런 것 같았다. ..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란?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란 데이터 이해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분석 기획 및 데이터분석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말한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자격증(이하 ADsP)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주최하는 자격증 시험이다.나는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 해당 자격증을 따면 성과 평가에 가점을 준다기에 취득을 결정했다. 출제문항ADsP는 위와 같은 항목들이 출제된다. 배점 총 50문항이 출제되며 100점 만점이다. 즉, 한 문항에 2점씩이다.총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며 이때 한 과목당 40% 미만의 점수를 받으면 과락이다. 난이도이 시험은 컴퓨터공학 전공자로서 큰 이점..